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0

[오마이뉴스] 변화가 필요한 공권력/ 독일의 경찰들은 시민들을 보호한다고? 정말 그럴까? * 기사 전 서문은 기고 당시 개인적인 생각이나, 기사에 대한 반응에 대해 적어놓았던 글입니다. 시위는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다. 그 앞을 가로막는 것은 시위의 대상인 정부도, 정당도, 정치인도 아닌 경찰이다. 경찰은 전투화로 사람들을 짓밟고, 방패로 밀어붙이고, 최루액을 뿌리고, 물대포를 쏘기도 한다. 때로는 흉악범을 잡아내고, 어르신을 돕기도 하며, 위기의 상황에서 시민을 구하기도 한다. 경찰은 이중적일까 아니면 이중적일 수밖에 없는 것일까. 간혹 유럽의 경찰 혹은 소방관들이 얼마나 쿨하고, 멋있고, 시민을 보호하는지 기사화되거나 짤방 등으로 돌아다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단호히 말할 수 있는 것은, 경찰들은 어느 나라나 똑같을 수 밖에 없는 조직이라는 점이다. 이번 제목은 내가 생각했던 것과 제.. 2019. 6. 19.
[오마이뉴스] 베를린의 강제퇴거 저지운동/ 세입자를 쫓아내는 이웃, 세입자를 보호하는 이웃 * 기사 전 서문은 기고 당시 개인적인 생각이나, 기사에 대한 반응에 대해 적어놓았던 글입니다. 익숙하지 않은 소식과 사회 운동에 대한 기사를 내가 생각하는 "정직한 제목"으로 선정한다면, 그 누구도 클릭하지 않겠지만, 그럼에도 이번 기사 제목 선정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아쉽지만 실제로 자유로운 분위기의 사회운동이자 그리고 진짜 바로 옆에 사는 이웃들이 참여하는 사회운동으로 배드민턴도 칠 수 있는(?) 강제퇴거 저지운동이 이렇게 작지만 기사로 소개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 오마이 뉴스 기사 원문 주소 : http://omn.kr/93b9 배드민턴 치며 "강제퇴거 반대"... 이런 시위도 있네 40년간 살아온 집에서 쫓겨난 티나씨... 베를린의 강제퇴거 저지운동 www.ohmyn.. 2019. 6. 18.
[오마이뉴스] 세계화를 맞이한 도시/ 베를린의 난민들은 왜 가장 진보적인 지역구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했는가? * 기사 전 서문은 기고 당시 개인적인 생각이나, 기사에 대한 반응에 대해 적어놓았던 글입니다. 예전부터 정보를 모아가면서 관심을 가진채 지켜보던 사건인데 어느 정도 상황이 마무리되고 있는 시점이다. 전혀 깔끔하지 않은 과정을 거쳐서 상황이 마무리되어가고 있어서, 처음 글을 쓴 지 약 3달이 다돼가는 지금 마무리를 짓는다. 녹색전환 연구소에 기고한 글의 확장판이라고 보면 된다. 앞으로 몇 가지 글을 시민의 도시라는 개인적의 주제 아래서 써보려고 하는 글 중 템펠호프 공원에 대한 이야기에 이은 두 번째 글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오마이뉴스 기사 편집팀이 선정한 이 기사 제목이 그리 마음에 들지 않지만, 이 사건은 근본적으로 기존의 유럽과 독일의 난민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독일 사회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 2019. 6. 15.
[오마이뉴스] 시민의 승리/ 베를린 템펠호프 공원 주민투표 * 기사 전 서문은 기고 당시 개인적인 생각이나, 기사에 대한 반응에 대해 적어놓았던 글입니다. ** 오마이 뉴스의 핫한 제목 선정이 흥미롭다. 나는 제목을 아주 정직하게 쓰는 경향이 있어서, 이런 자극적인 제목을 뽑아내는 편집팀의 능력이 종종 놀랍고 슬프다. 앞으로 오마이뉴스를 통해 간혹 기사를 쓰려고 한다. 내용은 한국에서 방영되는 독일 관련 다큐멘터리나, 기사, 칼럼 등에서 보이는 천국 같은 독일 모습이 아니라, 실제 베를린 시 내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건들의 양면을 모두 보여주고 그들이 시도하는 해결책과 그 한계점을 밝히는 것이 될 것 같다. 그래야 우리도 다가올 문제에 대비할 수 있을 테니까. *** 오마이 뉴스 기사 원문 주소: http://omn.kr/8p7i 베를린 최고의 '핫 플레이스'.. 2019. 6. 14.
미세먼지가 변화시키는 도시, 슈투트가르트 이 글은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8년 겨울 VOL.32에 기고한 글(건축도시동향의 해외동향)의 글이다. * 원문 (다운로드) 주소: http://www.auri.re.kr/pdf/20190123/3.1.pdf 미세먼지의 수도, 슈투트가르트 메르세데스 벤츠 그리고 포르셰로 상징되는 자동차의 도시 슈투트가르트(Stuttgart)는 미세먼지가 주요 환경 이슈로 자리 잡은 이래로 ‘독일의 미세먼지 수도’로 불리고 있다. 슈투트가르트시의 미세먼지와 대기오염이 심각한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슈투트가르트는 유명 자동차 브랜드의 본사가 자리하고 있는 도시이면서, 인구당 차량 수가 0.56 으로 독일에서 제일 높은 도시로 알려져 있다.* 그만큼 차량으로 인한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원 생성이 활발할.. 2019. 6. 13.
베를린, 제2회 도시 만들기 축제 개최 이 글은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8년 가을 VOL.31에 기고한 글(건축도시동향의 해외단신)의 글이다. * 원문 (다운로드) 주소: http://www.auri.re.kr/auriTidings/urbanSpace_view.asp?idx=1809&page=1&bbs_code=8&key=0&word=&etc=&opendate= 제2회를 맞이한 베를린의 도시 만들기 축제 2014년 베를린에서는 공원으로 이용되던 템펠호프(Tempelhof) 이전 공항 부지를 개발하려던 주정부의 계획에 반대하는시민들이 주민투표를 통해 무산시킨 역사적인 사건이 있었다. 도시에서 시민이 도시공간을 새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변화시키는 상황이 늘면서, 도시공간은 그 어느 때보다 정치적인 장소로 자리 잡고 있다. 베를린 도시 .. 2019. 6. 12.
베를린의 협소주택 실험과 의의 이 글은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8년 봄 VOL.29에 기고한 글(건축도시동향의 해외동향)의 글이다. * 원문 (다운로드) 주소: http://www.auri.re.kr/auriTidings/urbanSpace_view.asp?idx=1740&page=1&bbs_code=8&key=0&word=&etc=&opendate= 2016년을 전후로 베를린에서는 협소주택(Tiny House)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바우하우스 캠퍼스 베를린(Bauhaus Campus Berlin)의 협소주택 프로젝트와 그 외에 개별 건축가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협소주택 프로젝트는 실제 베를린 몇몇 장소에서 실험적 형태로 운영되기 시작하였고,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응용되고 있다. 독일뿐만 아니라 .. 2019. 6. 11.
베를린 도시 블록의 소셜 믹스–티어가르텐 블록 사례를 중심으로 이 글은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7년 가을 VOL.27에 기고한 글(건축도시동향의 해외동향)의 원본 글이다. 이 블록에 관련해서는 다음에 블로그에 쓰게 될 글에서 담지 못한 내용을 추가적으로 기록하려고 한다. * 원문 (다운로드) 주소: http://www.auri.re.kr/auriTidings/urbanSpace_view.asp?idx=1586&page=1&bbs_code=8&key=0&word=&etc=&opendate= ** 이 글에 사용된 아이소메트리 도면은 현재 알리 사드(Ali Saad)의 책임하에 진행 중인 베를린 공과대학교 통합 건축 연구소(Laboratory for Intergrative Architecture)의 베를린 블록(Berlin Block) 연구 작업의 일부임을 밝.. 2019. 6. 10.
독일 함부르크 하펜시티 프로젝트의 명암 이 글은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7년 봄 VOL.25에 기고한 글(건축도시동향의 해외동향)의 원본 글이다. * 원문 (다운로드) 주소: http://www.auri.re.kr/pdf/20171Qmagazine_S/3.3.pdf 다시 주목받는 함부르크 하펜시티 프로젝트 함부르크 시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엘베 필하모니 콘서트홀 완공을 앞두고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그동안 폭발적으로 늘어난 공사비 등 여러 이유로 비판에 시달려 왔지만, 근사하게 완공된 건물 앞에선 모두가 찬사를 보냈다. 자연스럽게 엘베 필하모니 콘서트홀이 위치한 함부르크 하펜시티 개발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다시금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다. 함부르크는 독일 내에서 인구가 두 번째로 많은 도시일 뿐만 아니라, 유럽연합 내에서 막.. 2019. 6. 9.
베를린의 대안 주택 모델의 성장과 그 한계 이 글은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6년 가을 VOL.23에 기고한 글(건축도시동향의 해외동향)의 원본 글이다. * 원문 (다운로드) 주소: http://www.auri.re.kr/auriTidings/urbanSpace_view.asp?idx=1341&page=1&bbs_code=8&key=0&word=&etc=&opendate= 베를린 대안 주택 등장 배경 주택 부족, 과도한 월세 등 주택 문제는 현재 전 세계의 도시와 그곳에서 사는 시민들을 관통하고 있는 주된 주제다. 이는 베를린 역시 예외가 아니다. 하지만 이 글을 통해 베를린의 대안 주택을 소개하는 이유는, 베를린의 주택 문제를 조금은 다르게 바라봐야하기 때문이고, 그 이유는 이 도시가 처했던 역사적 배경과 연관이 깊다. 2차세계대전 이.. 2019.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