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0 주민참여형 도시개발 사업의 의의와 한계: 베를린 역사 중심지(Historische Mitte) 개발 이 글은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5년 겨울 VOL.20에 기고한 글(건축도시동향의 해외동향)이다. * 원문 (다운로드) 주소: http://www.auri.re.kr/auriTidings/urbanSpace_view.asp?bbs_code=8&idx=1153 주민참여형 도시개발 사업의 의의와 한계: 베를린 역사 중심지(Historische Mitte) 개발 도시의 상징적인 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남다르다. 비록 그 장소를 자주 찾지 않더라도, 사람들은 도시의 상징적인 공간의 역사성이나 사회성 등에 큰 관심을 갖는다. 베를린 알렉산더 플라츠* (이하 알렉스) 역시 그러한 장소이다. 이제는 여행객들로 가득찬 알렉스는 불과 수십 년 전까지만 해도 동베를린 시민들만의 상징적 장소이자 동독 정부의.. 2019. 6. 8. [풍경 기고] 급진적 근대 - 1960년대 베를린의 계획과 건설 이 글은 재독한글문화신문 풍경 9월호에 기고한 글이다. 오프라인 신문으로만 구독할 수 있다. * 풍경 홈페이지: http://www.punggyeong.de/ Radikal Modern - Planen und Bauen im Berlin der 1960er-Jahre 급진적 근대 - 1960년대 베를린의 계획과 건설 약 10개월 간의 공사를 마친 베를린 갤러리(Berlinische Galerie)가 재개장을 하며 처음 선보이고 있는 전시는 “급진적 근대”라는 제목의 전시다. 1960년 전후의 베를린의 도시개발과 건축물에 관한 방대한 자료를 소개하는 이 전시의 제목을 보며 누군가는 이런 의문이 생길 수도 있다. 왜 하필 1960년대일까? 그리고 왜 급진적 근대일까? 그 이유는 간단하기도 하고, 수많은 역사.. 2019. 6. 5. 2019년 23+24주차 베를린 주요 행사 2019년 23, 24주차(6월 3일 월요일 ~ 2019년 6월 16일 일요일) 베를린의 주요 행사입니다. 2019. 06. 07 금요일 - 2019. 06. 10 일요일 Karneval der Kulturen 베를린의 주요 축제 중 하나인 문화의 카니발(Karneval der Kulturen)이 다시 돌아옵니다. Amerika Gedenkbibliothek을 중심으로 전세계의 문화를 체험하며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일요일(9일) 12:30부터는 Yorckstraße부터 Hermannplatz까지 문화의 카니발 행렬이 이어집니다. 어떤 문화를 대표하는 단체와 그룹들이 이 행사에 참여하는지 그리고 어떤 행사들이 준비되어있는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Startseite | Karne.. 2019. 6. 5. 2018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설계 스튜디오 강연 - 베를린의 소셜 믹스 2018년 10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의 한 설계 스튜디오에서 강연을 하였습니다. AURI에 기고했던 베를린 도시 블록의 소셜 믹스–티어가르텐 블록 사례를 중심으로를 바탕으로 블로그에 작성했던 해당 블록의 정치적 변화에 대한 이야기까지 하면서 유행처럼 사용되고 있는 소셜 믹스가 얼마나 조심스럽게 다뤄져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좋은 질문이 너무 많이 나와서 개인적으로도 너무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이 블록이 도리어 소셜 믹스가 되지 않은 사례가 되지 않을까라는 지적은 최근 이 블록 내에 새로운 (아마도 고급 주택) 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더욱 정확한 지적이었고, 정말 이 블록이 지금도 어느 정도 양분화되어있는데, 새로운 개발 사업이 끝나고 나면 정말로 블록의 절반은 .. 2019. 6. 3. 2018년 인천 남구청 도시정비과 베를린 도시재생, 가이드 및 통역 업무 2018년 8월 인천 남구청 도시정비과에서 베를린 도시재생 관련 해외 출장을 위한 일정 섭외, 가이드 및 통역 업무를 하였습니다. 베를린의 도시재생의 몇 가지 양상을 비교할 수 있도록 3곳의 도시 재생 구역(크로이츠베르크, 미테 그리고 노이쾰른 지역)을 방문하는 일정을 제안하여, 도시재생 현장 답사 가이드 업무를 하였습니다. 답사에 앞서 베를린 도시개발 및 주거청(Senatsverwaltung für Stadtentwicklung und Wohnen) 크리스티아네 베스트팔 박사(Dr. Christiane Westphal)의 베를린 도시재생 프로그램 관련 프레젠테이션 및 질의응답에 대한 통역을 하였습니다. 2019. 5. 31. 2018년 서울연구원 베를린 하천 수질관리, 가이드 및 통역 업무 2018년 8월 서울연구원에서 베를린 하천 수질 관련 자료 조사 방문을 위한 일정 섭외와 통역 업무를 하였습니다. 베를린의 여러 수자원 공사 중 Wasserwerk Beelitzhof를 방문하였고, 담당자의 프레젠테이션과 수자원 공사 건물 현장 투어 간의 통역 업무를 하였습니다. 2019. 5. 30. 2018년 국토부 사회주택, 가이드 및 (보조)통역 업무 2018년 5월 국토부의 독일 베를린 사회주택 출장을 위한 현지 코디네이터 및 출장 양일 간의 가이드 및 (보조) 통역 업무 및 현지 통역 섭외 업무를 하였습니다. 국토부 해외 출장 준비를 위한 베를린의 사회주택 관련 기관 및 관련 현장 소개 및 방문 일정을 제안하여, 외교부가 일정 조율을 하도록 도왔으며, 실무진 사전 답사 시 통역 및 가이드를 담당하였습니다. 이후 국토부 장관 베를린 방문시 시영주택 회사 중 하나인 슈타트 운트 란트(Stadt und Land)의 사회주택 현장 답사 시 가이드 및 통역을 맡았고, 베를린 도시개발 및 주거청(Senatsverwaltung für Stadtentwicklung und Wohnen)의 제바스티안 쉴(Sebastian Scheel) 차관과의 면담, 베를린의 슈.. 2019. 5. 29. 2015년 할로! 베를린 인터뷰 - 베를린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이런 인터뷰는 처음이라 조금 어렵긴 했지만 아무튼 좋은 편집 덕택에, 무난한(?) 인터뷰가 되지 않았나 생각이 드는 인터뷰였습니다. 인터뷰에 몇 가지 추가 사항, 1. 사실 베를린 소개서를 쓰게 된 근본적 이유는 용돈을 벌기 위함입니다. 팟 캐스트에서 이야기한 내용은 굳이 오마이 뉴스에 글을 연재하지 않았더라도 블로그 등에 계속 쓸 글들이었고, 그냥 쓰느니 적지만 돈을 받아서 쓰고 싶어서 베를린 소개서를 기획해서 쓰게 된 것입니다. 2. 개발이 안 되는 도시 베를린에 대한 추가적 이야기. 물론 개발은 계속 이어집니다. 개발 압력도 끊임없습니다. 특히 소규모의 개발은 도시 곳곳에서 일어납니다. 다행히도 특정 규모 이상의 공공용지 매각은 시정부의 승인이 있어야 해서, 대규모의 개발을 염두에 둔 대형 부지 매.. 2019. 5. 28. 2015년 한양대 건축공학과 강연 - 건축은 불타버려야 한다 2015년 3월 한양대 건축공학과에서의 강연. 유럽 중앙은행 건축과 도시사회적 맥락에 대한 소개, 베를린 공대에서의 첫 도시설계 프로젝트의 인상 깊었던 디자인 접근 방식과 일상의 건축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www.stern.de/politik/deutschland/so-versetzte-blockupy-frankfurt-in-den-ausnahmezustand-brennende-autos-350-aktivisten-festgesetzt-2180912-0a35a3124270b57e.html 2019. 5. 27. 2015년 어반 소사이어티 세미나 - 조심스러운 도시 재생 조심스러운 도시 재생 베를린 국제 건축전시회 1987 일시: 2015년 3월 26일 (목) 19:00 - 21:00 장소: 성수동 카우앤독 2층 C50 1987년 독일 베를린에서는 세계의 유명 건축가들을 초대한 대규모의 도시 재생 사업이 있었습니다. ‘베를린 국제 건축 전시회’라고 불리는 이 도시 재생 사업은 현재 베를린의 수많은 건축 문화유산을 만들어낸 기회이자, 동시에 그동안 무차별적으로 진행된 도시 개발 사업을 도시 재생이라는 이름 하에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전환점이었습니다. 이 세미나를 통해서 당 시대의 도시적 맥락, 도시재생의 주요 원칙 그리고 20여 년이 지난 현재의 시사점 등을 소개합니다. 2019. 5. 24.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다음